경기도 꿈나래 통장 23년 신규 참여자 모집이 6월부터 시작이 됩니다.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경기도 꿈나래 통장은 자격요건이 있기에 자격요건을 확인하시고 신청하셔서 자녀가 있으신 분들이라면 자녀교육비 마련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는 좋은 제도가 될 것 같습니다.

경기도 꿈나래 통장이란?

꿈나래통장은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 서울시와 민간 후원금으로 적립되고 지원되는 사업으로, 매월 일정금액을 3년 또는 5년간 저축하면 소득 수준에 따라 저축한 금액과 동일한 금액 또는 1/2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꿈나래통장은 서울시민 300명, 성북구 12명을 모집하므로 빠르게 서둘러 신청하셔야 겠습니다.

경기도 꿈나래 통장 23년 신규모집

꿈나래통장 저축금액과 지원내용

자녀 교육비 마련 목적의 저축을 지원하는 꿈나래 통장은 월 저축 가능 금액과 그에 따른 지원내용에 차이가 있습니다.

생계, 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본인이 저축한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매칭 지원액으로 받을 수 있으며,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의 경우에는 본인이 저축한 금액의 1/2의 금액에 대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생계,의료 급여 수급자의 경우 자신이 매월 7만원을 저축할 경우 월 7만원의 매칭지원액을 받아 3년 만기일 경우에는 총 504만원을, 5년 만기일 경우 840만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거,교육급여 수급자이거나 혹은 수급자가 아닌 분들의 경우 매달 7만원을 입금할 경우 매칭 지원액은 본인 저축액의 1/2인 3.5만원을 지원받게 됩니다. 3년 만기일 경우 378만원을, 5년 만기일 경우에는630만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중 3자녀 이상인 경우에는 매달 12만원의 적립을 하여 5년만기시에 1000만원 이상의 금액을 마련할 수도 있습니다.

신청자격

2023 꿈나래 통장은 아래의 3가지 조건에 부합할 경우에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1. 서울시 거주자
  2. 만 14세 이하인 자녀를 둔 만 18세 이상의 부모 등(친권자, 후견인)
    – 만 14세 이하란? 200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가 해당됩니다.
    – 만 18세 이상이란? 2005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가 해당됩니다.
  3. 동일 가구원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인 가구
    (단, 3자녀 이상 가구의 경우에는 기준중위소득 90% 이하인 가구)

신청제외대상 : 아래의 항목 중에서 하나라도 해당되는 경우에는 신청이 제외됩니다.

  1. 신청인 본인 명의의 통장 개설이 불가능한 자
  2. 신청인 및 가구원이 아래 유사사업에 참여 중 또는 참여 이력(만기 / 중도해지 등)이 있는자
    • 신청자 본인의 중복 가입 불가: [서울시]희망두배청년, 희망플러스 , 꿈나래, 이룸통장, [보건복지부] 디딤씨앗통장(CDA)
    • 신청자 가구원의 중복가입 불가 : [서울시] 희망플러스, 꿈나래, 이룸통장, [보건복지부] 디딤씨앗통장(CDA)
    • 단, 중도해지자 중 지원금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신청이 가능합니다

경기도 꿈나래통장은 자녀가 여러명이어도 1명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과 방법

신청기간 : 23년 6월 12일(월) ~ 6월 23일(금)

신청방법 : 주소지의 동주민센터 방문, 우편, 이메일(동주민센터 담당자)접수

● 방문접수 : 근무일 중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우편접수 : 접수마감일 오후6시까지 도착
● 이메일접수 : 접수마감일 오후6시까지, 동주민센터 담당직원 이메일로 접수
● 이메일, 우편 접수 누락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최종 참여자(가구)는 10월 13일 (금) 최종 선발이 되며, 이후 서울시와 약정 체결을 한 후 11월부터 저축을 시작하게 됩니다.

또한 저축액에 비례하여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비수급자들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마시고 해당되시는 분들은 신청하셔서 자녀의 교육비 절감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저축하면서 비과세혜택과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통장 :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 돈되는 정부지원금 카톡알림 받는 방법

● 전세, 월세 산다면? 잊지말고 신고해야 과태료 부과되지 않아요


0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Avatar placeholder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